Menu
제목 | [노동뉴스] 르노삼성 임단협 ‘산 넘어 산’…노조, ‘전면 파업’ 카드 꺼내나 |
---|---|
작성자 | 로고스 |
작성일 | 21-04-21 07:46 |
해넘긴 임단협 8차 본교섭도 부결 자산매각 움직임에 강경투쟁 선언 작년 적자전환, 수익성개선 적신호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실적 악화로 올해 초부터 비상 경영에 돌입한 르노삼성자동차가 결국 노조 리스크에 직면했다. 국내 완성차 5개사 중 유일하게 해를 넘긴 임단협을 아직 매듭짓지 못한 가운데 사측의 고정비 절감을 두고 노조는 연일 파업 수위를 높이고 있다. 노사 갈등 심화로 전면 파업 가능성이 제기되는 만큼 르노삼성차의 수익성 개선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르노삼성차 노사가 극한 대치를 이어가는 동안 실적은 지속적으로 악화하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내수 부진과 수출 급감으로 8년 만에 적자 전환한 르노삼성차는 올해 들어서도 고전하고 있다. 실제 르노삼성차의 1분기 수출이 8939대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한 점은 고무적이지만, 내수는 1만3129대로 34.3% 감소했다. 서바이벌 플랜의 핵심인 XM3의 유럽 수출 물량 확보마저 좌초될 경우 올해 흑자 전환은 어려울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르노삼성차 노사가 고용 안정을 목표로 임단협 타결을 시도하고 있으나, 기본급 인상을 비롯해 최근 사측의 자구책에 대한 노조의 반발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며 “노조가 부분파업을 통해 사측과 협상을 이어나갈 가능성이 크지만, 자칫하면 전면 파업으로 확대될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프랑수아 프로보 르노그룹 해외사업총괄 부회장은 이날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비공개 면담을 갖고 하이브리드차의 판매를 위한 환경규제 완화를 건의했다. 르노삼성차가 향후 르노 본사의 하이브리드차를 국내 도입하기 위해선 환경부의 배출가스 기준에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성 장관은 르노그룹에 원활한 차량용 반도체 수급과 물량 배정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아시아투데이] |
|